“서울보다 느리지만, 더 단단하게 살고 싶어요.”
이건 귀농이나 지방 창업을 준비하는 분들이 자주 하는 말이에요.
전북과 전남은 2025년에도 정부와 지자체가 함께 운영하는 지역 맞춤형 지원사업이 활발합니다.
특히 창업·귀농·복지 분야가 세분화돼 있어서 “조용하지만 확실한 지원”을 받을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두 지역의 핵심 사업을 비교하면서 어떤 지원이 나에게 맞는지, 그리고 신청 시 주의할 점까지 알려드리겠습니다.
1. 전북 지역 – 청년창업과 농촌형 주거복지 중심
전북은 ‘지속 가능한 농촌경제’에 중점을 둔 정책이 강하답니다.
청년을 유입시키고, 정착까지 돕는 정착형 지원제도가 특징이에요.
① 전북 청년창업농 영농정착지원사업
- 대상: 만 18~39세 귀농·영농 청년
- 지원금: 월 최대 110만 원 × 최대 3년 = 총 3,960만 원
- 특징: 농업경영체 등록 시 추가자금(시설·운영비) 지원
- 신청: 전북도청 농정국
② 전북 소상공인 재도약 자금
- 대상: 창업 7년 이내 소상공인
- 금리: 연 2.5% 고정, 최대 5천만 원 대출
- 보증기관: 전북신용보증재단
- 특징: ESG·디지털 전환 기업은 우대 심사
③ 농촌 주거환경개선사업 (전북형)
- 지원대상: 농촌 거주 1년 이상 무주택자
- 지원금: 리모델링비 최대 1,500만 원
- 추가혜택: 고령자·한부모 세대 우선심사
* 핵심 포인트:
전북은 ‘살기 위한 창업’에 초점을 둔 지역이에요. 즉, 농업기반 창업 + 정착형 복지가 강점입니다.
2. 전남 지역 – 귀촌·복지·해양산업 지원 중심
전남은 귀농귀촌 + 어촌정착 + 복지형 생활지원이 중심이에요.
특히 해양수산업과 농업을 동시에 포함하는 구조로, 실제 지원 항목이 폭넓습니다.
① 전남 귀농어귀촌 행복정착 지원사업
- 대상: 전남으로 전입 5년 이내 귀농·귀촌인
- 지원금: 최대 3,000만 원 (주거비 + 창업비 포함)
- 특징: 귀농학교 수료 시 가점 + 마을 정착 멘토 연계
- 신청: 전남도 귀농어촌종합지원센터
② 전남 어촌뉴딜 300 프로젝트 연계 사업
- 대상: 어촌계, 어업 종사자, 귀어인
- 지원내용: 생활인프라 개선 + 주거단지 조성 + 일자리창출 지원
- 2025년 예산: 약 1,200억 원 규모
③ 전남형 행복복지카드 제도 (신설)
- 대상: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
- 지원금: 연 50만 원 복지포인트 (생활·의료·교통비 사용 가능)
- 특징: 전남형 지역화폐와 연동되어 사용처 다양
* 핵심 포인트:
전남은 농업뿐 아니라 해양·복지까지 확장된 균형형 복지구조예요.
즉, 귀촌뿐 아니라 “삶 전체를 정착시키는 지원제도”에 가까워요.
3. 전북 vs 전남 – 지원 성격과 신청 팁 비교
| 구분 | 전북 | 전남 |
| 핵심 키워드 | 청년창업·농촌주거 | 귀촌·해양복지 |
| 지원형태 | 현금·보조금 중심 | 생활복지·인프라 중심 |
| 대상층 | 20~40대 귀농·창업 청년 | 40~60대 귀촌·전입세대 |
| 추가혜택 | ESG기업, 청년농 우대 | 어촌계, 중장년층 복지 가점 |
| 신청경로 | 전북도청, 시군청 경제과 | 전남도 귀농어촌센터, 복지정책과 |
* 신청 꿀팁
- 두 지역 모두 “중복신청은 불가하지만, 단계적 신청은 가능”합니다.
- 예: 귀농정착금 → 농촌주택지원 → 창업자금 순으로 진행 가능
- 주소지 기준으로 신청해야 하며, 주민등록 이전 후 3개월 경과가 필요해요.
- 서류 제출은 대부분 온라인(정부24)과 병행 가능하지만,
- 현장심사(농가 방문 등)는 반드시 대비해야 합니다.
* 실무 팁:
전북은 청년 중심, 전남은 가구 중심이에요. 즉, 본인 단독 창업이라면 전북, 가족단위 정착이라면 전남이 유리하답니다.

* 마무리 *
전북과 전남은 속도는 느리지만, 그만큼 ‘사람 중심’의 정책이 잘 자리 잡은 지역입니다.
2025년의 지역정책 방향은 명확합니다.
“청년은 창업으로, 중장년은 정착으로, 모두가 자립으로.”
전북도청(jb.go.kr), 전남도청(jn.go.kr), 귀농귀촌종합센터(greendaero.go.kr) —
이 세 곳을 즐겨찾기 해두세요.
도시보다 느리지만, 당신의 삶이 오래 머물 수 있는 곳. 그게 바로 전북과 전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