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보다 살기 편하고, 일자리도 안정적이라서 좋아요.”
요즘 충청권, 특히 세종·대전·청주·충남 지역이 청년들에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래서 정부는 2025년을 맞아 충청권 맞춤형 지원정책을 대폭 강화했습니다.
대전의 창업·연구지원, 세종의 주거복지, 충남·충북의 청년정착 및 농촌지원까지! 이제 ‘균형발전’이란 말이 실감 나는 시기라는 거죠.
오늘은 충청권 4개 지역의 주요 정부지원제도를 하나로 묶어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1. 대전·세종 – 청년 주거·창업지원 중심
대전과 세종은 행정도시이자 혁신도시답게, 청년 중심의 창업과 주거 지원정책이 눈에 띕니다.
① 대전 청년창업지원센터 (청춘두두두)
• 대상: 만 19~39세 예비창업자 또는 3년 이내 창업자
• 지원내용: 창업 공간 무상임대 + 초기자금 최대 1천만 원 + 멘토링
• 신청: 대전경제통상진흥원 / djbea.or.kr
• 2025년 추가: 청년창업사관학교 대전캠퍼스 2배 확대
② 세종 행복청년 주거비 지원제도
• 대상: 세종 거주 무주택 청년
• 지원금: 월 20만 원 × 최대 12개월
• 특징: 근로·구직 중인 청년 모두 가능
• 신청: 세종시청 복지정책과
③ 대전·세종 청년패스 통합카드 (2025년 신설)
• 혜택: 교통·문화·통신비 통합 지원, 연 30만 원 한도
• 비고: 충청권 최초의 지역형 청년 통합복지카드
* 핵심 포인트:
대전·세종은 “살기 좋은 도시형 정책”이 강점이에요.
특히 주거 + 교통 + 창업이 한 번에 연결되는 통합형 복지가 돋보입니다.
2. 충남 – 농촌형 복지와 일자리 연계정책
충남은 청년귀촌·소상공인 재기지원이 탄탄합니다.
단순히 ‘지원금’이 아니라 지역 내 정착 기반을 만들어주는 정책이 많아요.
① 충남 청년귀촌 정착지원사업
• 대상: 귀촌 5년 이내 만 19~45세 청년
• 지원금: 최대 3,000만 원 (주거비 + 영농비)
• 특징: 마을 멘토제 운영, 지역 농가 연계
② 충남 재도전 소상공인 회복지원
• 대상: 폐업 후 재창업 희망 소상공인
• 지원금: 경영개선비 최대 700만 원
• 지원기관: 충남신용보증재단 /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 보너스: 충남형 전통시장 온라인 입점 교육 무료
③ 충남 행복주택 우선공급
• 대상: 청년·신혼부부·한부모가정
• 임대료: 시세의 60~80% 수준
• 운영: LH + 충남도 공동 시행
* 핵심 포인트:
충남은 농촌과 도시 사이의 “생활기반형 복지”가 잘 되어 있어요. 한 번 정착하면 오래 살 수 있는 구조입니다.
3. 충북 – 제조창업과 생활복지 균형형
충북은 청주를 중심으로 제조·바이오 창업이 활발하면서 생활복지제도도 꼼꼼하게 정비되어 있습니다.

① 충북형 중소기업 창업도약 패키지
• 대상: 창업 3~7년 차 기업
• 지원금: 최대 1억 원 (사업화 자금 + 판로개척)
• 신청: 충북창조경제혁신센터 / ccei.creativekorea.or.kr/chungbuk/
• 특징: ESG 기반 기술기업 우선 선정
② 충북 생활복지 통합 바우처
• 대상: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
• 지원내용: 전기·가스·교통비 통합 바우처, 연 50만 원
• 신청: 복지로 또는 충북도청 복지정책과
③ 청주형 일자리 연계 주거지원
• 대상: 청주 지역 청년근로자
• 지원금: 월 15만 원 (전월세 보조금)
• 비고: 고용보험 가입자 우대
* 핵심 포인트:
충북은 “일자리 있는 복지”라는 표현이 딱 맞아요.
창업과 생활안정을 함께 잡을 수 있는 지역형 모델입니다.
* 마무리 *
충청권은 겉으로 보기엔 조용하지만, 지원정책만큼은 수도권 못지않게 다양하고 체계적입니다.
대전·세종은 젊은 도시, 충남은 농촌과 복지의 균형, 충북은 산업과 일자리의 중심으로 나뉘어 각자의 강점이 뚜렷하죠.
복지로(bokjiro.go.kr), 충청권 각 도청 홈페이지, K-Startup(k-startup.go.kr) —
이 세 곳만 북마크 해두면 대부분의 정책은 다 챙길 수 있습니다.
균형발전은 거창한 구호가 아닙니다. 지금 이 지역에서, 한 사람의 삶이 바뀌는 일입니다.